민작(민족문학작가회) 작가들 이중 잣대
백낙청 평론가(창비,창작과 비평사 편집인)와 신경숙 남편 남진우 평론가
극단적인 평론을 해온 사람들이 신경숙의 표절에 변명,
백낙청은 변명 이유가 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고 국가적 품위를 지키려고 그랬다고 함, 지나친 단죄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부패한 공범자로 모는 사회라고 문단을 비판.
남진우는 과거 표절문제에 지나쳤던 비판 견해를 바꾸면서까지 아내에 대해서는 함구.
일제시부터 북한 거주문인- 최명익, 김조규, 백석(찬양시,돌아온 사람), 유향림, 안용만, 이원우, 김우철, 김복원, 이북명, 한설야(애국열사릉 안치), 최인준, 이찬
1945 북한 정착-이기영, 안막, 송영, 윤기정
월북 문인
1946년 월북-홍명희, 박세영(애국열사릉 안치), 안막(1958처형, 김일성의 후원으로 공훈배우가 된 처 최승희는 자숙 후 복권됐으나 1967년 가택연금 1969년 사망. 최승희는 애국열사릉 안치)
1947년월북- 이태준, 임화(1953년 박헌영과 총살), 지하련
1948년~6/25 월북-김남천, 이원조, 안희남, 허준,김동석, 오장환(열성당원), 임학수, 김영석,박찬모,조영출(열성당원), 조남령, 김오성,주영섭, 윤규섭, 황민, 이서향, 이동규, 박팔량(열성당원), 신고순, 이갑기, 조벽암(열성당원), 함세덕, 이근영, 지봉문, 박산운, 엄홍섭,조운 황하일,
6/25후 월북-설정식, 이용악(열성당원), 박태원, 양운한
빨치산 활동 중 사망- 김태준, 유진오, 이흡
납북 문인-김억, 정지용, 김동환, 박영희, 김기림, 이광수,
월남 문인
6/25이전 월남 문인-김동명, 안수길, 김진수, 임옥인,황순원, 구상, 최태웅, 오영진, 유정
6/25이후 월남 문인-김이석,박남수,장수철, 박경종, 김영삼, 이인석, 양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