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이미지/ 심재혁 '나무위키'에서 발췌 '심상'의 영어 역어가 image. 시에서 시각적 심상이니 청각적 심상이니 하는 그것을 말한다.시에서 이미지는 시의 특징 중 하나인 구체적 형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요소이다. 구체적 형상화란 우리가 관념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과 같은 것들을 오감을 통해 지각할 수 .. 문학 이론 2019.08.27
差延 , Différance 디페랑스(불어) 차연 [ 差延 , Différance ]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독자적으로 만들어 사용한 비평 용어로 그의 독자적인 비평작업인 해체비평의 관건이 되는 비평 용어이다. 자크 데리다에 따르면, 'differance(디페랑스)'는 프랑스어 'difference(차이)'의 어미 '-ence'를 '-an -ce'로 바꾸어서 .. 문학 이론 2019.01.27
음운 음운론(音韻論 : Phonology) Ⅰ. 국어의 음운 1. 정의 (1) 음운의 개념 말의 뜻을 구별 짓는 소리의 최소 단위로서, 사람들의 머릿속에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는 추상적, 관념적인 소리 <형태소를 구별하는 최소의 단위> ① 서로 다른 소리를 같은 소리로 인식. 예)‘고기’에서 두 ‘ㄱ.. 문학 이론 2015.03.27
형태론/어절, 품사 등 형태론[形態論 : Morphology] Ⅰ. 문법의 기본단위 <문장과 단어> cf) 문장→절→구→어절→단어→형태소→음절→음운 이야기 •화자 + 문장(주어 ~서술어) + 청자 •화자와 청자의 관계, 시간․공간적 배경, 장면의 분위기 등 모두가 이야기를 이루는 요소이다. 문장 •의미상.. 문학 이론 2015.03.27
문장론 Ⅰ. 문장의 성분 [01] 문장 성분의 성립 (1) 문장 1) 정의 ① 어느 어절이 다른 어절이나 단어에 대해 갖는 관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② 문장은 문장을 이루는 성분들의 관계가 긴밀한 정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석되며, 그 자체로서 통일성을 가진다. 2) 문장의 골격 ① 우리말에는 .. 문학 이론 2015.03.27
올바른 문장 올바른 문장 Ⅰ. 단어 1. 적합한 단어의 선택 (1) 일반 단어 선택이 잘못된 경우 ◉ 오늘 낮에는 눈이 많이 내리더니 밤에는 강추위까지 겹쳤다. (→ 추위) → 강추위는 눈도 오지 않으면서 매우 추운 추위를 말하므로, 눈이 온 날의 밤에는 사용될 수 없다. ◉ 벽지가 잘 붙게 풀솔에 .. 문학 이론 2015.03.27
의미론(意味論: Semantics) 의미론(意味論: Semantics) Digest 1. 언어의 구조는 말소리[형식]와 의미[내용]로 이루어진다. 2. 말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 약속에 의해서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자의성(恣意性)이라 하고,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단어를 상징어(象徵語)라 한다. 3. 단어들의 의미관계에는 동의관계.. 문학 이론 2015.03.27
혼동하는 표기들 ◈ 제53항에서 예사소리로 적는 경우 할게(0) / 할께(x) 큰 비가 올걸(0), 큰 비가 오는 걸(0) / 큰 비가 올껄(x) ◈ 어간과 어미사이에 [ㄹ] 이 불필요하게 들어가 있음 쓰려고(0) / 쓸려고(x) 하려고(0) / 할려고(x) 가려고(0) / 갈려고(x) ~하 기에)0) / ~할길래(x) ◈ 국어의 발음은 ㄴ-ㄹ은 연속해서 나.. 문학 이론 2015.03.27
연결어 연결어(접속어) 1. 개념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 등을 이어주는 말 2. 연결어의 형태 • 접속 부사 : 그리고 • 지시어 : 그것은 • 어구 : 그렇지 않으면 3. 연결어의 기능 (1) 순접(順接) : 앞 뒤 문장이 내용상 서로 맞서지 않고 순편하게 이어지는 접속관계 ex) 그리고, 그래서, 그.. 문학 이론 2015.03.27
문종 주요 문종 <여러 종류의 글과 진술방식> 제1절 논설문(論說文) 1. 논설문의 정의 어떤 문제에 대한 필자의 주장이나 의견, 사상 등을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하여, 주장의 진실성과 정당성에 의해 독자를 설득하여 행동으로 옭길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cf. 1) 논지(論之) : 논.. 문학 이론 201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