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의 反哺之孝 수필 까마귀의 反哺之孝/최승영-- 문학도시 2018년 6월호 한국 고대문헌-까마귀는 예언능력 있고 인간의 할 도리를 인도한다.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일부 종족-까마귀는 창세 신. 읿론-까마귀가 나쁜일을 예견하여 울어주므로 길조.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늙은 어미를 먹여살리므로 反.. 독서 정리 2019.02.03
다섯 맛의 역할/국제펜한국본부 역사 단맛- 비위기능을 도와 살찌게 함. 신맛- 간 기능을 도와 근육을 튼튼히. 쓴맛- 심장을 도와 피를 건강하게. 매운맛- 폐를 도와 지구력을 높임. 짠맛- 신장과 신경을 도와 뼈를 단단하게 ----------------------------------------------- 국제펜 한국본부 결성- 1954년 변영로, 모윤숙, 김기진 김광섭 등. .. 독서 정리 2018.01.26
국립국어원 영문 이름 쓰기 국립국어원 제3장 표기상의 유위점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쓴다. 이름은 붙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은 허용한다. <()안의 표기를 허용함> 민용하 Min Yongha(Min Yong-ha) Song Nari(Song Na-ri)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 독서 정리 2018.01.26
추천도서 목록 [장자, 순간 속 영웡] 정진배 지음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 한국최초의 근대식 학교 교사; 미국에서 초빙한 관립학교 육영공원 교사로 학교운영준칙 제정하고 교과과정 제시. 헐버트가 만든 육영공원 교과서 사민필지는 1895년에 만든 국민소학독본보다 4년 전에 만들었다조선 .. 독서 정리 2018.01.03
선비(순수 한국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선비「명사」 「1」예전에,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 사대부, 선비, 그 중에도 주체성이 강한 지식인들의 전폭적인 협조 없이는 우리의 대사가 성공할 수 없다는 선생의….≪유현종, 들불≫ 「2」학문을 닦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 독서 정리 2016.04.01
제주도 여도(이어도, 파랑도) 섬의 분류 도서--사람이 살 수있는 섬과 살 수 없는 온갖 섬. 島-- 바다에 새가 있는 산. 사람이 살 수 있는 큰 크기. 嶼(섬 서)-- 섬과 더불어 있는 산. 사람이 살 수 없는 작은 크기. 礁(암초 초)--여(물속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 露礁노초--물 위에 드러난 바위. 暗礁암초--물에 잠긴 바위. .. 독서 정리 2016.02.07
Flash Fiction 플래시 픽션(Flash Fiction) - 깨진밤 플래시픽션 - 깨진밤 (김정현, 2015) ​ 일반적으로 플래시 픽션(Flash Fiction)이란 분량이 짧은 단편 소설을 지칭한다. 약 300-1000 단어를 사용해 만들어지는 플래시 픽션은 우리나라에선 시집이나 그림이 들어간 에세이에서 주로 사용되었을 뿐 호흡이 긴 .. 독서 정리 2016.01.17
아포리즘 수필이란?/ 윤재천 아포리즘aphorism「명사」깊은 진리를 간결하게 표현한 말이나 글. 격언, 금언, 잠언, 경구 따위를 이른다. ¶ 박인환의 시를 시로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아포리즘으로, 그 무드에 젖어 좋아했다. 글의 초단편화-짧은 수필, 단형수필, 5매수필, 손바닥수필(掌篇수필), 옆편葉篇수필, 아포리.. 독서 정리 2016.01.17
social reading 소셜 리딩 SNS를 통해 책에 관한 글을 공유하고 함께 읽는 행위를 말한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 생각과 감정을 기록해 SNS상의 지인들과 공유하며 책을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게 소셜 리딩의 장점으로 꼽힌다. 소셜 리딩의 등장은 전자책의 대중화와 관련이 깊다. 2008년 14억 2,200만 .. 독서 정리 2016.01.17
훈민정음/ 노마 히데끼(野間秀樹) PEN문학 2015년 11-12월호 훈민정음=한글의 탄생과 발전을 언어의 원리에서 보다/ 노마 히데끼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916-1972)- 말하는 것(langue불어)과 쓰여진 것(edriture불어)을 구분하였음. "written language는 spoken language의 영상이다."는 설에 대하여 완전히 그렇지 않고 거의 그렇다는 반응이 .. 독서 정리 2016.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