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참고자료

참고 소설

Uncle Lee 2018. 1. 20. 09:24

사실문학fact literature, nonfiction-수필, 자서전, 감상문, 기사, 칼럼, 논문

북한 종군기자 이우태가 완전히 전향하여 쓴 수기 '남부군'(이병주의 출세작 '지리산'의 모델임).

'안네의 일기', 역사학자 김성칠(1913-1951)의 일기(6/25 때 인공치하 서울 생활), 니코스 카잔카키스가 터키가 그리스를 점령한 후 유랑한 그의 자서전,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르포르타주(reportage)  '체르노빌의 목소리'

전기소설


傳記- 傳은 대상 인간의 행위를 작가의 시각에서 쓰는 論意이고, 記는 그의 행위를 객관적인 입장에서 쓴다는 記事이므로 전기는 사실문학이다. 위인전 등 전기는 대상 인물 사후에 쓰는데 공적인 일을 객관적으로 쓴 사마천 '사기' 중 '열전'과 사적인 일을 고인과 인연이 있는 사람이 쓴 '行狀記'가 있다. 행장기로는 스승의 사후나 어머니의 사후에 쓴 것 등이 있다. 긍정적인 대상인물을 선택하여 독자에게 정신적 가치와 감동을 준다. 인물평은 작가가 하지 않고 독자에게 맡긴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써도 전기라고 쓰면 독자들이 유족의 의뢰로 쓴 것으로 생각해서 객관성을 의심받는다. 전기 작가 이충렬이 일제 시대 만석군 외아들로 태어나 일본이 착취한 한국 골동품을 모아 독립한 한국에 기증한 '간송 전형필'을 전기라고 썼을 때 출판사나 언론 기자들이 평전으로 하라고 권해서 평전이나 전기라 하지 않고 일대기라고 했다.   

전기는 스토리텔링이고 서사문학이므로 소설가 시인이 자료수집 현지답사를 지나칠 만큼 충실히 하여 내용에 오류가 없어야 독자의 지적욕구를 채워주어 인기를 얻는다. 기자는 취재 중심으로 리얼리티가 있고, 학자는 팩트 중심으로 논리적 평설을 하지만 재미가 없어 독자가 없다.


評傳-평은 공정한 평가를 뜻하고 전은 전기를 뜻한다. 평전은 전기와는 달리 역사적 교훈을 목적하므로 반역사적 인물도 대상이 된다. (이완용 평전)

행장기- 전기. 대상인물과 인연이 있는 사람이 쓴 전기.


수필-경수필m

iscellany, 중수필formal essay/ 서정수필lyrical essay

전통문학-부賦, 전傳, 패설稗說, 소설, 판소리



'시작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사법  (0) 2018.02.06
문단 소식  (0) 2018.01.20
참고 수필  (0) 2018.01.20
참고 시조  (0) 2018.01.20
민조시 기타 시  (0) 201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