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맞춤법
머무르다/머물다 활용--- 준말은 본디말의 활용에 따름
머무르다(본디말)--머물러, 머루르니
머물다(준말)--본디말에 따라 '머물러, 머루르니'로 하고 '머물어'로 는 하지 않지만, '머무니'는 허용함.
'ㄷ 불규칙 활용--- '긷다'는 'ㄷ 불규칙 활용'을 하는 동사로, 어간 뒤에 모음이 오면 'ㄷ'이 'ㄹ'로 바뀝니다. 하지만,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ㄷ'은 바뀌지 않습니다. 긷다 - 긷고, 긷는, 길어, 길으니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의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형용사는 붙여 씁니다.----행복해하다. 미안해하다
다시 한번--국립국어원 2015년 표준정보보완심의회에서 '다시 한번'은 상황에 따라 띄어쓰기에 혼선이 있어, 의미 구별 없이 무조건 붙여 쓰는 것으로 통일하였다. 이를 따라 '다시 한번'의 '한번'은 붙여 쓴다.
아니에요-- <용언과 체언의 결합> '아니(다)'에 어미 '-어(에)요'가 붙은 말은 '아니어(에)요'라고 써야 합니다. '아니예요'와 '아니여요'는 바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니어요'가 '아녀요'라고 줄어든 경우나 '아니에요'가 '아녜요'로 줄어든 경우는 맞습니다.
'하다'가 결합하여 준말---안울림소리 받침 뒤에서는 어간의 끝 음절 '하'가 줄어진 형태로 씁니다.
(예) 넉넉하지 않다. -> 넉넉지 않다.
단, 울림소리 받침 뒤에서는
어간의 끝 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됩니다.
(예) 처리하게 하다. -> 처리케 하다.
●한글 똑바로 알고 쓰기 50선 - 1
1. 한글 자음이름
영어의 알파벳은 알면서 한글 자음은 제대로 모른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는 지식 이전에 국어를 쓰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이 중에서도 특히 'ㅌ'은 많은 분들께서 '티ㄱㅡㅌ'으로 발음합니다.
'티ㄱㅡㅌ'이 아니라 '티읕'입니다.
2. [~습니다] 와 [~읍니다]
"우리글, 우리말의 기본 규정이 바뀐 지가 9년이 넘는데도 아직까지 '∼습니다'와 ,∼읍니다'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출판을 계획하고 있읍니다'로 쓰인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이전에는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썼기 때문에 혼동할 수밖에 없었으나 이제는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조건 '∼습니다'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있음'과 '없음'을 '있슴'과 '없슴'으로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때에는 항상 '있음', '없음'으로 써야 합니다.
3. [~오] 와 [~요]
종결형은 발음이 '∼요'로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항상 '∼오'로 씁니다. '돌아가시오', '주십시오', '멈추시오' 등이 그 예입니다.
하지만 연결형은 '∼요'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이것은 책이요, 그것은 펜이요, 저것은 공책이다'의 경우에는 요를 써야 합니다.
4. [안] 과 [않∼]
'안'과 '않'도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중의 하나입니다. '안'은 '아니'의 준말이요,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라는 것만 명심하면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의 소비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는 문장에서 '않으면'은 '아니하면'의, '안'은 '아니'의 준말로 사용된 것입니다.
5. [∼이] 와 [∼히]
"깨끗이, 똑똑히, 큼직이, 단정히, 반듯이, 가까이 등의 경우,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잘 안 됩니다. 원칙은 없지만 구별하기 쉬운 방법은 '∼하다'가 붙는 말은 '∼히'를, 그렇지 않은 말은 '∼이'로 쓰면 됩니다. 그러나 다음에 적어 놓은 말은 '∼하다'가 붙는 말이지만 '∼이'로 써야 합니다. 깨끗이, 너부죽이, 따뜻이, 뚜렷이, 지긋이, 큼직이, 반듯이, 느긋이, 버젓이 등입니다.
6. [붙이다] 와 [부치다]
'붙이다'와 '부치다'도 각기 그 뜻이 많아 쓰임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붙이다'는 붙게 하다, 서로 맞닿게 하다, 두 편의 관계를 맺게 하다, 암컷과 수컷을 교합시키다, 불이 옮아서 타게하다, 노름이나 싸움 따위를 하게 하다, 딸려 붙게 하다, 습관이나 취미 등이 익어지게 하다, 이름을 가지게 하다, 뺨이나 볼기를 손으로 때린다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부치다'는 힘이 미치지 못하다, 부채 같은 것을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편지나 물건을 보내다,
논밭을 다루어서 농사를 짓다, 누름적·저냐 따위를 익혀 만들다, 어떤 문제를 의논 대상으로 내놓다, 원고를 인쇄에 넘기다 등의 뜻을 가진 말입니다. 그 예를 몇 가지 들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힘이 부치는 일이다. 편지를 부치다. 논밭을 부치다. 빈대떡을 부치다. 식목일에 부치는 글입니다.
회의에 부치기로 한 안건입니다.
우표를 붙이다. 책상을 벽에 붙이다. 흥정을 붙이다. 불을 붙이다. 조건을 붙이다. 취미를 붙이다.
별명을 붙이다.
7. [∼율] 과 [∼률]
한 예로 합격률인지 합격율인지 혼동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경우는 모음이나 ㄴ으로 끝나는 명사 다음에는 '∼율'을 붙여 백분율, 사고율, 모순율, 비율 등으로 쓰고, ㄴ받침을 제외한 받침 있는 명사 다음에는 '∼률'을 붙여 도덕률, 황금률, 취업률, 입학률, 합격률 등으로 쓰면 됩니다.
8. [띄다] 와 [띠다]
'띄다'를 써야 할 곳에 '띠다'로 잘못 쓰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띄다'는 '띄우다'와 '뜨이다'의 준말입니다. '띄우다'는 물이나 공중에 뜨게 하다,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사이를 떨어지게 하다, 편지·소포 따위를 보내다, 물건에 훈김이 생겨 뜨게 하다 등의 뜻을 지닌 말입니다.
'뜨이다'는 감거나 감겨진 눈이 열리다, 큰 것에서 일부가 떼내어 지다, 종이·김 따위가 만들어지다, 무거운 물건 따위가 바닥에서 위로 치켜 올려지다, 그물·옷 따위를 뜨게 하다, 이제까지 없던 것이 나타나 눈에 드러나 보이다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 편 '띠다'는 띠나 끈을 허리에 두르다, 용무·직책·사명 따위를 맡아 지니다, 어떤 물건을 몸에 지니다, 감정·표정·기운 따위를 조금 나타내다, 빛깔을 가지다, 어떤 성질을 일정하게 나타내는 것를 이르는 말입니다. '띄다'와 '띠다'를 바르게 사용한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무를 좀더 띄어 심읍시다. 어제 편지를 띄었습니다. 키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에 비해 뜨이기(띄기) 십상입니다. 임무를 띠고 미국으로 갔습니다. 분홍빛을 띤 나뭇잎이 멋있습니다.
9. [반드시] 와 [반듯이]
이 경우는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는 말입니다.그러나 그 쓰임은 아주 다릅니다.
'반드시'는 어떤 일이 틀림없이 그러하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예: 약속은 반드시 지키십시오.)
'반듯이'는 작은 물체의 어디가 귀가 나거나 굽거나 울퉁불퉁하지 않고 바르다, 물건이 놓여있는 모양새가 기울거나 비뚤지 않고 바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예: 고개를 반듯이 드십시오.)
재미있는 예문 중에 "나무를 반드시 잘라라", "나무를 반듯이 잘라라"가 있습니다. 전자는 '필(必)'의 뜻이고, 후자는 '정(正)'의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
10. [며칠] 과 [몇일]
"오늘이 며칠이냐?"고 날짜를 물을 때 '며칠'이라고 써야 할지, 아니면 '몇일'이라고 써야 하는지 몰라서 망설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때의 바른 표기는 '며칠'입니다. ' 몇 일'은 의문의 뜻을 지닌 '몇 날'을 의미하는 말로 몇 명, 몇 알, 몇 아이 등과 그 쓰임새가 같습니다. "10일 빼기 5일은 몇 일이죠?"와 같은 표현이 바로 그것입니다.
'몇 월 몇 일'로 쓰는 경우도 많으나 바른 표기는 '몇 월 며칠'로 써야 합니다.
11. [돌] 과 [돐]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직장 동료의 대소사를 그냥 넘어갈 수 없지요. 하얀 봉투에 '축 결혼', '부의', '축 돌' 등을 써서 가야 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닙니다. 그 가운데 '축 돐'로 쓰여진 봉투를 종종 보게 됩니다.
종래에는 '돌'과 '돐'을 구별하여 둘 다 사용했었습니다. '돌'은 '생일'을, '돐'은 주기를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새 표준어 규정에서는 생일과 주기를 가리지 않고, '돌'로 쓰도록 규정하였습니다. 그러니 '돐잔치'나 '축 돐'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항상 '돌잔치', '축 돌'이라고 표기해야 합니다.
12. [∼로서] 와 [∼로써]
이 '∼로서'와 '∼로써'의 용법도 꽤나 혼동되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로서'는 '자격격 조사'라고 하고, '∼로써'는 '기구격 조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회사 대표로서 회의에 참석했다"라는 문장에서 쓰인 '대표로서'는 움직임의 자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자격이란 말은 좀더 세분하면 지위·신분·자격이 됩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대표라는 자격'으로 쓰인 경우입니다.
또 "우리 회사는 돌로써 지은 건물입니다"라는 문장에서 쓰인 '돌로써'는 움직임의 도구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도구란 말도 세분해 보면 도구·재료·방편·이유 등이 됩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돌을 재료로 하여'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가끔 문장 가운데 "그는 감기로 결근하였다"와 같이 '∼서'나 '∼써'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서'나 '∼써'를 붙여 보면 그 뜻이 명확해 집니다. 위의 예문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써'를 붙여 '감기로써'가 바른 말입니다.
13. [∼므로] 와 [∼ㅁ으로]
'∼므로'와 '∼ㅁ으로'도 흔히 잘못 쓰이는 말입니다. '∼므로'는 '하므로/되므로/가므로/오므로' 등과 같이 어간에 붙는 어미로, '∼이니까/∼이기 때문에'와 같은 '까닭'을 나타냅니다.
이와는 달리 '∼ㅁ으로'는 명사형 '∼ㅁ'에 조사 '으로'가 붙은 것으로, 이는 '∼는 것으로/∼는 일로'와 같이 '수단·방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는 열심히 공부하므로 성공하겠다"와 "그는 아침마다 공부함으로 성공을 다졌다"를 "비교해 보면, 전자는 '∼하기 때문에'의 이유를 나타내는 말이고, 후자는 '∼하는 것으로써'의 뜻으로 수단·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불황으로 인해 회사가 힘들어지므로 열심히 일해야 한다", "기회가 있으므로 절망하지 않겠다" 등은 이유를 나타내므로 '∼므로'가 됩니다. "문물을 교환함으로 문화를 발전시킨다", "산을 아름답게 가꿈으로 조국의 사랑에 보답한다" 등은 수단·방법을 나타내므로 '∼ㅁ으로'가 바른 말이 됩니다.
14. [더욱이] 와 [더우기]
글을 쓰는 작가들도 아직까지 이 단어를 잘못 쓰는 분들이 많더군요. 종래의 맞춤법에서는 '더우기'를 옳은 철자로 하고, 그로부터 준말 '더욱'이 나온 것처럼 설명했던 것인데, 새 맞춤법에서는 그와 반대의 입장을 취한 대표적인 것입니다. 그러니 이제는 '더욱이'로 써야 합니다.
15. [작다] 와 [적다]
'작다'는 '크다'의 반대말이고, '적다'는 '많다'의 반대말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별로 유념하지 않고" 키가 적다", "도량이 적다"와 같이 잘못된 표현을 합니다.
이 '작다'는 부피·길이·넓이·키·소리·인물·도량·규모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할 때 쓰는 말입니다. 작은 키, 작은 연필, 작은형, 구두가 작다 등에 쓰이지요.
이와는 달리 '적다'는 분량이나 수효가 어느 표준에 자라지 않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즉, 많지 아니하다는 뜻입니다. "재미가 적다", "사람의 수효가 너무 적다" 처럼 쓰이는 말입니다.
괄호 안의 온점 처리
괄호 안이라도 완결된 문장이라면 온점을 찍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괄호 안의 문장이 본문 안에 있을 때는 그 문장 끝에서 온점을 생략합니다. 또, 문장 뒤에 괄호를 사용한 보충 문장이 뒤따르는 경우 괄호 안의 문장이 앞 문장과 내용상 긴밀한 관계에 있을 때는 두 문장의 마침표를 묶어 괄호 밖에 하나만 쓰고, 그렇지 않을 때는 마침표를 각각 따로 씀이 옳습니다.
(예1) 네티즌('누리꾼'이라고 순화해서 쓰는 것이 좋다) 사이에서는 통용되고 있다.
(예2) 지각한 학생들을 닦아세웠다(꼼짝 못하게 휘몰아 몹시 나무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