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맞춤법 자료

표준발음법

Uncle Lee 2018. 10. 5. 19:13

표준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11항 겹받침 , , 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 , ]으로 발음한다.

[]

흙과[흑꽈]

맑다[막따]

늙지[늑찌]

[ː]

젊다[ː]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앞에서 []로 발음한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더보기

[]

칡도[칙또]

칡까지[칙까지]

맑다[막따]

맑지[막찌]

맑습니다[막씀니다]

늙다[늑따]

늙지[늑찌]

늙습니다[늑씀니다]


맑게[말께]

맑고[말꼬]

맑거나[말꺼나]

늙게[늘께]

늙고[늘꼬]

늙거나[늘꺼나]

늙는-늑는


파생어들인 갉작갉작하다, 갉작거리다, 굵다랗다, 굵직하다, 긁적거리다, 늙수그레하다, 늙정이, 얽죽얽죽하다등의 경우에도 앞이 아니므로 역시 []으로 발음한다. []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한글 맞춤법(21)에서 아예 말끔하다, 말쑥하다, 말짱하다등과 같이 만을 받침으로 적도록 규정하였다.

 


재2장 자음과 모음

5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로 발음한다.

늴리리

닁큼

무늬

띄어쓰기

씌어

틔어

희어

희떱다

희망

유희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 조사 []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ː의의/ː이에]

   

관형격 조사 []로 발음함이 원칙이다.

강의의--> 원칙(강:의의), 허용(강이에)

 


'문법 맞춤법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음법칙  (0) 2019.03.02
부사  (0) 2019.01.19
낯선 말  (0) 2018.10.05
특수 맞춤법  (0) 2018.10.05
접사, 어미, 의존명사  (0) 2017.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