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를 말합니다
그리고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뉩니다
오늘은 그 세 가지의 조사 중에서 격조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격조사
격조사의 사전적 의미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갖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간단하게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뒤에 붙어서 문법적 의미를 갖게 하는 조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단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격조사의 종류와 형태를 도표화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격조사의 종류>
1. 주격 조사 : '-이/-가', '-께서', '-에서'
주격 조사는 체언이 서술어의 주어임을 표시하는 격 조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은/-는'도 주격 조사라고 생각하시지만 '-은/-는'은 주격조사가 아닌 보조사입니다
보조사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은/-는'은 주격 조사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주격조사의 대표적 형태는 '-이/-가'로, 선행하는 체언의 말음이 자음으로 끝나면 '-이'가 결합하고, 모음으로 끝나면 '-가'가 결합합니다
그리고 선행 체언이 높임과 존경의 대상일 때는 '-이/-가' 대신 '-께서'를 사용해 존경의 의미를 나타내며,
'학교, 회사'와 같은 단체 무정명사가 주어일 때는 '-에서'가 결합하게 됩니다
이들 주격조사는 다른 조사들과 결합할 경우 독특한 특징이 나타납니다
ㄱ. 바람이 분다. / *바람가 분다.
ㄴ. 소리가 들린다. / *소리이 들린다.
ㄷ. *철수가{는, 도} 사과를 먹는다.
ㄹ. 선생님께서{는, 만, 도} 사과를 드신다.
ㅁ. 우리 학교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ㄷ)은 '-이/-가'와 몇몇 보조사들과의 결합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반면, ㄹ)은 가능한 경우입니다
또한 주격조사 '-이/-가'가 1인칭 대명사 '나', 2인칭 대명사 '너', 미정의 대명사 '누구'와 결합하면 그 형태가 달라지게 됩니다
나+가 → 내가
너+가 → 네가
누구 + 가 → 누가
ㅁ)의 '-에서'는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주격 조사의 역할을 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에서'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 부사격 조사로 사용 되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2. 목적격 조사 : '-을/-를', 'ㄹ'
목적격 조사는 체언이 서술어의 목적어임을 표현하는 격 조사입니다
목적격 조사 '-을/-를' 역시 주격조사와 동일한 조건, 즉 선행 체언의 말음 차이에 따라 그 선택이 달라집니다
다만 구어체의 받침 없는 말 뒤에는 특수한 형태인 'ㄹ'이 결합하기도 합니다
ㄱ. 밥을 먹는다. / *밥를 먹는다.
ㄴ. 식사를 한다. / *식사을 한다.
ㄷ. 널(너를) 좋아해.
ㄹ. 날(나를) 보지 마.
ㄷ, ㄹ)의 경우는 구어체의 상황에서 'ㄹ'이 결합 된 상황입니다
3. 보격 조사 : '-이/-가'
보격 조사는 체언이 보어임을 표시하는 격 조사입니다
한국어의 보격조사는 서술어의 의미를 보완해주는 보어와 결합하는데 그 형태가 주격조사와 동일합니다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서술어 '되다, 아니다' 앞에 오는 성분을 보어로 다루고 있습니다
ㄱ. 그녀가 선생님이 되었다. / *그녀가 되었다.
ㄴ. 그는 남자가 아니다. / *그는 아니다.
예문의 서술어인 '되다'와 '아니다'는 주어만으로는 온전한 의미구조를 드러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서술어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주어 외의 다른 성분이 필요한데, '선생님'과 '남자'가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보격조사 '-이/-가'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4. 관형격 조사 : '-의'
관형격 조사는 앞의 체언이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격 조사를 말합니다
ㄱ. 모든 학생이 학교에 왔다.
ㄴ. 철수의 책이 학교에 있다.
ㄱ)의 '모든'은 관형사로서 후행 명사인 '학생'을 수식하고 있으며,
ㄴ)의 '철수'는 명사로서 관형격 조사 '-의'의 결합으로 명사 '책'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의'는 1, 2인칭 대명사와 결합할 경우 그 형태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ㄱ. 내 책은 여기에 있다.
ㄴ. 네 가방은 어디에 있니?
ㄱ)의 '내'는 '나+의'
ㄴ)의 '네'는 '너+의'의 구조입니다
5. 부사격 조사 : '-에, -에서, -에게, -에게서, -한테, -으로, -와/-과...
부사격 조사는 체언이 부사어임을 표시하는 격 조사입니다
부사격 조사의 형태는 위의 표에서 봤듯이 상당히 많습니다
ㄱ. 철수는 학교에 간다.
ㄴ. 집에서 공부하는 편이 좋다.
ㄷ. 길동이에게 편지를 보냈다.
ㄹ. 철수는 영희와 정말 친하다.
ㄱ,ㄴ)은 '간다, 공부하다'라는 용언을 수식한 경우이고
ㄷ)은 '편지를 보냈다.'라는 문장을 수식한 경우이고
ㄹ)은 '정말'이라는 부사를 수식한 경우입니다
6. 호격 조사
호격조사는 체언과 결합하여 누구를 부를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선행 체언의 말음이 모음이면 '-야'가 결합하고, 자음이면 '-아'를 사용합니다
또한 이의 존대형으로 기도문이나 시적 표현에 사용되는 '-여/-이여'나 '-이시여'도 해당합니다
ㄱ. 영희야, 밥 먹어라.
ㄴ. 길동아, 빨리 나와.
ㄷ. 하늘이시여, 제발 제 기도를 들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