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 참고자료

맛, 바람, 촉감, 감정, 기술 등 차별 어휘

Uncle Lee 2012. 3. 29. 21:33

 

매운맛에 대한 표현


맵다 : 고추나 겨자의 알알한 맛이나 냄새와 같다.(우리말 큰사전/1975/이하 우로 표시)
맵디맵다 : 몹시 맵다.
매콤하다 : 조금 매큼하다. (우)
매큼하다 : 약간 맵다.
메케하다 : 연기나 곰팡이 따위의 냄새가 나서 코가 맵다./매캐하다(경상도 사투리)
맵싸하다 : 맵고 싸하다.
맵짜다 : 음식 맛이 맵고 짜다.

 

 

짠맛에 대한 표현


짜다 : 소금 맛과 같다.
짜디짜다 : 몹시 짜다.
맵짜다 : 맵고 짜다.
짭짤하다 : 감칠맛이 있게 약간 짜다. (우)
간간짭짤하다 : 감칠맛이 나게 짭짤하다. <큰말> 건건찝찔하다.
건건찝찔하다 :  좀 짜기만 하고 맛이 없다. <작은말> 간간짭짤하다.
찝찔하다 : 맛이 없이 짜다.
짭조름하다 : 좀 짠맛이 있다.
짭짜래하다 : 약간 짭짤하다.(우)
찝찌레하다 : 감칠맛이 없게 조금 짜다. ≒찝찌름하다.

 

 

단맛에 대한 표현


달다 : 꿀이나 설탕의 맛과 같다.
달달하다 : 달다 짜다와 짭짤이 다르듯이, 단맛이 알맞은 정도. ...
달콤하다 : 감칠맛이 있게 달다.
달큰하다 : [북한어]꽤 단맛이 있다.
달짝지근하다 : 약간 달콤한 맛이 있다.
달착지근하다 : 약간 달콤한 맛이 있다. ‘달짝지근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달금하다 : 조금 달다 약간 달큼하다.
달곰하다 : 약간 달콤하다. 감칠맛 있게 달다. 거센말 달콤하다.(우)
달곰쌉쌀하다 : 조금 달면서 약간 쓴맛이 있다.

 

 

쓴맛에 대한 표현


쓰다 : 혀로 느끼는 맛이 한약이나 소태, 씀바귀의 맛과 같다
쓰디쓰다 : 몹시 쓰다.
씁쓸하다 : 조금 쓴 맛이 나다.
씁스레하다 : 조금 쓴 맛이 나는 듯하다. ≒씁쓰름하다.
씁쓰름하다 : = 씁쓰레하다.
쌉쌀하다 : 조금 쓴 맛이 있다.

 

 

신맛에 대한 표현


시다 : 맛이 식초나 설익은 살구와 같다.
시큼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조금 시다. ‘시금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시금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깊은 맛이 있게 조금 시다.
시큼시큼하다 : 1 여럿이 다 깊은 맛이 있게 조금 신 맛이나 냄새가 있는 느낌.
                 ‘시금시금’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2 맛이나 냄새 따위가 깊은 맛이 있게 매우 신 느낌. ‘시금시금’...
새콤하다 : 조금 신 맛이 있다. ‘새곰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시큼털털하다 : 1 맛이나 냄새 따위가 조금 시면서도 떫다.
                ‘시금떨떨하다’보다 아주 거센 느낌을 준다.
새콤새콤하다 : 1 여럿이 다 조금 신 맛이 있는 느낌. ‘새곰새곰’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2 맛이 꽤 신 느낌. ‘새곰새곰’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새콤달콤하다 : 약간 신 맛이 나면서도 단맛이 나서 맛깔스럽다.
새큼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맛깔스럽게 조금 시다. ‘새금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새큼새큼하다 : 새큼새큼.
시큼시큼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깊은 맛이 있게 매우 신 느낌. ‘시금시금’...
시크무레하다 : 깊은 맛이 있게 조금 신 듯하다. ‘시그무레하다’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시그무레하다 : 깊은 맛이 있게 조금 신 듯하다.
새콤달콤하다 : 신 맛이 나면서도 단맛이 나서 맛깔스럽다.
시큼털털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조금 시면서도 떫다. 시큼털털한 살구.
             ‘시금떨떨하다’보다 아주 거센 느낌을 준다.
시쿰시쿰 : 여럿이 다 깊은 맛이 있게 조금 신 느낌. ‘시굼시굼’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다른 맛에 대한 표현


개운하다 : 음식의 맛이 산뜻하고 시원하다.
담백하다[淡泊] : 음식이 느끼하지 않고 맑다.
들큰하다 : 1.‘들큼하다’의 잘못. 2 [북한어]감칠맛이 없이 조금 달다.
건들큰하다 : 1. 맛이 달짝지근하면서 조금 느끼하다. 2. 조미료의 맛이 강하다....
들큼하다 : 맛깔스럽지 아니하게 조금 달다.
들부드레하다 : 약간 들큼하다.
들크레하다 : [북한어]조금 들큼하다.
밍밍하다 : 음식 따위가 제 맛이 나지 않고 몹시 싱겁다.
맹맹하다 : 1. 음식 따위가 제 맛이 나지 아니하고 싱겁다.
           2. 술이나 담배 맛이 독하지 아니하다.
감칠맛 : 음식이 입에 당기는 맛.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기는 힘. 
떫다 : 설익은 감의 맛처럼 거세고 텁텁한 맛이 있다.
떨떠름하다 : 떫은 맛이 있다.
느끼하다 : 1 비위에 맞지 아니할 만큼 음식에 기름기가 많다.
           2 기름기 많은 음식을 많이 먹어서 비위에 거슬리는 느낌이 있다.
심심하다 : 음식 맛이 조금 싱겁다.
슴슴하다 : [북한어]자극을 크게 느끼지 않을 정도로 싱겁다.
무슴슴하다 : [북한어]아무 맛도 없이 싱겁다.
깔끔하다 : 모양이나 생김새 따위가 매끈하고 깔밋하다.
           (깔끔하다는 생김새에 대한 표현이지만 군더더기 없이 재료자체의 맛을 잘
           살렸다는 뜻으로 요새 많이 쓰고 있다.)
구수하다 :  맛이나 냄새 따위가 입맛이 당기도록 좋다
엇구수하다 : 맛이나 냄새가 조금 구수하다.
고소하다 : 볶은 깨, 참기름 따위에서 나는 맛이나 냄새와 같다.
맛깔스럽다 : 입에 당길 만큼 음식의 맛이 있다.
설익다 : 충분하지 아니하게 익다.
설다 : 열매, 밥, 술 따위가 제대로 익지 아니하다
지리다 : 오줌 냄새와 같거나 그런 맛이 있다.

 

 

맛과 관련된 다른 감각 표현


고리다 :  썩은 풀이나 썩은 달걀 따위에서 나는 냄새와 같다.
고리고리 : [북한어] 냄새가 몹시 고린 상태.
되다 :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
되직하다 : 죽이나 풀 따위가 묽지 않고 조금 되다.
질다 : 밥이나 반죽 따위가 되지 아니하고 물기가 많다.
묽다 : 죽이나 반죽 따위가 보통 정도에 비하여 물기가 많다.
물그스름하다 : 조금 묽다.
묽숙하다 : 알맞게 묽다.
노그름하다 : 약간 노글노글하게 묽다.
누그름하다 : 약간 누글누글하게 묽다.
고들고들하다 : 밥알 따위가 물기가 적거나 말라서 속은 무르고 겉은 조금 굳은 상태.
고두밥 : 아주 되게 지어 고들고들한 밥.
딱딱하다 : 몹시 굳고 단단하다.
부드럽다 : 1.닿거나 스치는 느낌이 거칠거나 뻣뻣하지 아니하다.
           2. 가루 따위가 매우 잘고 곱다.
아삭하다/아삭아삭하다 : 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보드랍게 베어 물 때 나는
                        아삭거리며 바삭거리는 소리.
바삭하다/바삭바삭하다 : 바스러지기 쉬울 정도로 물기가 아주 없이 보송보송하다.
푸석하다/푸석푸석하다 : 부피만 크고 바탕이 거칠어서 부스러지기가 매우 쉽다.
쫄깃하다/쫄깃쫄깃하다 : 씹히는 맛이 조금 차지고 질긴 듯한 느낌이 있다.
                      ‘졸깃하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쫀득하다/쫀득쫀득하다 : 아주 차지고 쫄깃하다. (여린말: 존득하다)
질기다 : 물건이 쉽게 해지거나 끊어지지 아니하고 견디는 힘이 세다.


통통하다 : 물체의 한 부분이 붓거나 부풀어서 도드라져 있는 모양. 
오동통하다 : 몸집이 작고 통통한 모양.
퉁퉁하다 : 살이 쪄서 몸이 옆으로 퍼진 모양. ‘뚱뚱’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날씨, 바람

 이익 성호사설의 여덟 바람

동풍: 사沙-----샛바람

서풍: 한의寒意  ----하늬바람  

남풍: 마麻----마파람

북풍:고高, 후後----높바람. 된바람.

동남풍: 긴마緊麻---샛마파람

북동풍: 고사高沙----높새바람

북서풍: 긴한의緊寒意--높하늬바람

남서풍: 완한의緩寒意---갈마바람

-------

댓바람: 머뭇거리지 아니함.

단댓바람: 단 한 번에 막바로 해결함.

살바람: 봄바람이지만 살 속을 기어드는 바람.

소소리바람:이른 봄에 살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차고 매서운 바람.
              『방언‘회오리바람「1」’의 방언(전남, 충청).

꽃샘바람: 꽃 피는 것을 시기하는 바람.

실바람: 풍력 계급 1의 바람.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속 0.3~1.5미터이며, 연기의 이동에 의하여 풍향

                     을 알 수 있으나 풍향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선들바람: 가볍고 시원하게 부는 바람.

칼바람: 몹시 매섭고 독한 바람. 아주 혹독한 박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강을 훑고 올라온 칼바

                                         람이 살점을 도려내는 듯 아렸다.

서릿바람: 서리가 내린 아침에 부는 쌀쌀한 바람.

 

신바람: 신이 나서 우쭐우쭐하여지는 기운. 신바람이 나다.

손바람: 손을 흔들어서 내는 바람. 일을 치러 내는 솜씨나 힘. 부채질할 종이쪽지 하나 없어 그냥 얼굴에다 손바람만 일도록 손목을 흔들었다(바람).  손바람이 나도록 열심히 일하다(솜씨).

콧바람: 코로 내보내는 바람 기운. 또는 그 소리. 신이 나서 연방 콧바람을 불어 댔다.

 

 

머리 손질

도가머리: 머리털이 부스스하게 일어선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레게머리

 

현대기술 분류

IT-정보기술

BT-생명공학

NT-나노기술

CT-문화기술

ET-환경기술

하이브리드hybrid: 이종 결합


낯선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