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치악산에 한 절이 있어 하루는 불존(佛尊) 수좌(首座)가 법당(法堂) 뒤를 배회하고 있었는데, 큰 구렁이 한 마리가 꿩을 감싸고 있었고, 구렁이와 꿩이 서로를 삼키려 하고 있었다. 아, 이렇듯 서로 물고 버티며 놓지 않는 다툼이 있었는데, 둘이 서로 싸움하는 사이에 어부지리(漁父之利)가 가까이에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
불존 수좌가 지팡이로 구렁이를 풀어 꿩을 구하니, 이날 이경(二更 밤10시경)에 하얀 형상을 한 노인이 와서 전등(剪燈)의 왼쪽에 앉아 쇠붙이가 부딪치는 것 같은 소리를 내며 말하기를, "나는 이내 이 절의 종을 주조하는 화주승(化主僧)이다. 사방에서시주를 모아 자선(慈善)을 베풀고자 이 큰 종을 주조하였으나 종소리가 맑지 못하여 도리어 죄업(罪業)에 대한 응보(應報)를 받았다.
살리고 죽이는 것은 구렁이의 뜻이었고, 지금에는 재앙과 액운이 헤아릴 수 없다. 오늘 다행히 꿩 한 마리를 얻어 점심으로 먹으려 하였다. 그대의 자비로 이와 같이 한번 굶주렸으니 반드시 그대를 대신으로 먹어야겠다. 그대의 뜻은 어떠한가. 만약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나를 위해 종을 쳐서 소리를 내면 이러한 추한 응보를 면할 것이니, 이것 또한 자비이다." 하고 말이 끝나자 홀연히 떠나갔다.
의심스러워 괴상하게 여기는 사이에 앞에 있는 울리지 않던 종이 천천히 하늘 밖으로 소리가 울려 퍼졌다. 어두운 속에서 한 쌍의 꿩을 보니 부리를 사용하여 종을 울렸다. 한 번은 소리가 크고 한 번은 소리가 작아 큰 소리와 작은 소리가 마디가 있었고 한 번은 암컷의 소리였고 한 번은 수컷의 소리여서 암컷과 수컷의 차례가 있었다. 일종(一宗)이 죽고 일종(一宗)이 살았으니 죽고 사는 것에는 표지(標識)가 있으며 이것이 불문(佛門)에서 예악(禮樂)을 짓는 법이다.
동틀 무렵에 노인이 다시 와서 말하기를, "나는 종이 울리는 힘을 입어 얽어맸던 몸에서 벗어나 승천한다."고 하였다. 해가 솟아 밝아올 무렵에 가서 보니 금구렁이 한 마리가 남쪽 처마 아래에 죽어 있으므로 승(僧)이 죽었을 때의 예와 같이 장사지냈다.
아, 꿩은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목숨을 구해준 승(僧)의 은혜를 보답했고 승(僧)은 꿩의 목숨을 구해 준 것으로 인하여 목숨을 구하는 보답을 받았다. 구렁이는 승(僧)으로 인하여 생명을 아껴 꿩을 살려 주었고, 꿩으로 인하여 쌓였던 억겁(億劫)의 고통을 벗었으니 이것이 일거삼득(一擧三得)이다. 사물은 비록 같지 않았으니 세상에서 뛰어난 일이었기 때문에 치악(雉樂)으로써 그 산의 이름으로 하고 종을 쳤던 소리로써 온 나라의 사찰에 퍼졌다고 한다. (자웅종기에는 雉岳이 雉樂으로 되어 있음.)
- 해남 대흥사에서 1921년 발간한 「범해선사 문집」중의 '자웅종기(雌雄鐘記)'
==============================================================================================
치악산의 유래(상원사 보은설화)
경상도 의성에 사는 한 나그네가 과거를 보러 한양에 향해 떠났다. 치악산 기슭 오솔길을 걸어가는데 숲 속에서 꿩의 비명소리가 들렸다. 주위를 둘러보니 잔솔밭 아래 커다란 비단 구렁이가 꿩을 잡아먹으려고 똬리를 틀고 있었다. 나그네는 구렁이에게 잡아먹히려는 꿩을 불쌍히 여겨 활을 당겨 구렁이를 쏘아 죽였다. 그리고 길을 재촉하여 가는데 해가 저물었다. 깊은 산중에서 해가 저물어 부득이 인가를 찾게 되었다.
어두워서 찾아낸 집은 어느 이름 모를 절간이었다. 문을 들어서면서 주인을 찾으니 이상하게도 소복을 입은 여인이 나타났다. 나그네는 하룻밤 자고 가기를 간청했다. 여인은 쾌히 승낙하면서 방으로 안내했다. 여인은 저녁밥을 차려다 주고 대접을 융숭히 해줬다. 저녁밥을 든 나그네는 피곤이 몰려 곧장 깊은 잠에 빠졌다. 잠 속에서 몸이 부자유스러움을 느꼈다. 눈을 떠보니 커다란 구렁이가 온몸을 칭칭 감고 있었다. 나그네는 놀라 아무리 미물일지라도 죄 없는 선비를 해치려고 하는 법이 어디 있느냐?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구렁이는 두 갈래 혓바닥을 날름거리며, 손님은 오늘 오시다가 도중에서 살생을 했소, 구렁이는 내 남편이오, 그를 죽였으니 임자도 마땅히 죽음을 당하여야 하오? 하고 대답했다. 나그네는 대답도 제대로 못하고 살려 달라고 빌었다. 그러자 구렁이는 ?? 절 뒤 종루에 종이 있는데 그것을 세 번만 울리면 살려줄 수가 있소? 하고 조건을 내놓았다. 나그네는 자신의 활 솜씨를 믿고 그까짓 종쯤은 문제없이 맞춰 소리는 낼 수 있을 것이라도 믿고 날이 새기만을 기다렸다. 날이 밝자 나그네는 절 뒤뜰에 나가보았다. 그랬더니 구렁이가 이야기한대로 종루가 있고 그 끝에는 종이 달려있었다. 그러나 그 종루는 어찌나 높은지 다른 종루와는 달랐다. 나그네는 화살을 뽑아 시위에 걸고 힘껏 당겼다. 그러나 첫 화살은 종에 미치지 못하고 떨어지고 말았다. 둘째 화살도 첫 화살처럼 종을 미칠 듯 미칠 듯 하다가 땅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나그네는 마지막 화살을 뽑아 있는 힘을 다하여 다시 종을 향해 쏘았다. 마지막 화살도 종에 미치지 못하고 그냥 떨어지고 말았다. 나그네는 이제는 할 수 없이 구렁이에게 죽음을 당해야겠구나 하고 탄식을 하면서 발걸음을 돌리려던 때였다. 그런데 이게 웬 변고인가?
「뗑! 뗑! 뗑!」하고 종루에 종이 세 번 울리는 것이었다.
종이 울리자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구렁이의 변신인 소복한 여인은 온데 간데 없이 사라져 버려 나그네는 위기를 면하게 됐다.
나그네는 종소리가 난 것이 하도 이상해서 종루 밑을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그곳에는 꿩 세 마리가 머리가 터져 죽어있었다. 전날 살려준 꿩을 식솔들이 은혜를 갚기 위해 나그네의 위험을 구하고자 머리로 종을 치고 죽은 것이었다.
이후부터 이 고장 사람들은 이 산 이름을 꿩의 보은을 한 산이라 하여 꿩 치(雉)자를 써서 雉岳山이라고 바꾸었다 한다.
치악산에 한 쌍의 구렁이가 나타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치악산의 상원사 주지스님은 욕심이 많고 속세사람과 같은 데가 많았다.
어느 해 신종(新種)을 만들기 위해 장안 십만 집에서 그 집 식구대로 숟가락 하나씩 거두어 들였다. 이주지스님은 처음에는 불심 그대로 종을 만들려고 했으나 견물생심이라 슬며시 탐욕이 생겨 걷어들인 숟가락 중에서 절반쯤은 숨겨두었다. 그뿐 아니라 거두어 들인 숟가락중 절반만 들여 종을 하나만들었다.
높다른 종각을 짓고 종을 매달았다. 서라벌 황룡사의 신종만은 못해도 나라의 태평과 안녕을 빌기에는 손색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거창한 시종식(試鍾式)을 갖게됐다. 식구 수 대로 숟가락을 바친 시주들이 구름 떼처럼 몰려들어 이 큰 종의 첫소리를 들으려했다. 몰려온 사람들은 큰 종의 모습을 보고 모두 스님의 노고를 칭찬했다.
참으로 수고했습니다. 스님이 공덕이 아니었던들 이렇게 큰 종을 만들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내용도 모르고 칭찬이 자자했다.
맨 처음 종을 치는 것은 스님이 손수 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것이 웬일인가? 종을 쳐도 종소리가 나지 않았다. 연거푸 몇 차례 종을 쳐보았으나 바위를 때리는 소리만큼도 나질 않았다 모여있는 사람들이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그때 하늘에서부터 부처님의 목소리가 들려 왔다. 저주의 목소리였다. 그 스님은 부처님의 저주를 받아 구렁이가 된 것이다.
'풍속, 역사 창작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都彌說話 (0) | 2015.03.29 |
---|---|
溫達說話 (0) | 2015.03.29 |
調信說話 (0) | 2015.03.29 |
명주가溟州歌 (0) | 2015.03.29 |
상주의 지팡이 의미 (0) | 201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