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호칭어(2회)
최태연/전직 계성고등학교 국어교사
❉가숙(家叔):숙부가 조카에게 자기를 낮추거나, 조카가 숙부를 남에게 낮추어 이르는 말.
❉사숙(舍叔):가숙(家叔)과 동의어(同義語).
❉가질(家姪):조카가 숙부에게 자기를 낮추거나, 숙부가 조카를 남에게 낮추어 이르는 말.
❉사질(舍姪):가질(家姪)과 동의어(同義語).
❉존이모(尊姨母):아버지의 이모. 할머니의 여형제.
❉존이종(尊姨從): 아버지의 이종(姨從). 존이모의 자녀.
할머니의 이질(姨姪).
❉종ː생질(從甥姪): 사촌 자매(姉妹)의 자녀.
❉종ː고종(從姑從): 종고모(從姑母)의 자녀. ✰異姓 6촌 형제자매.
❉온서간(媼壻間): 장모와 사위 사이.
✰↔옹서간(翁壻間):장인과 사위 사이.
❉외ː고(外姑): 장모를 문어(文語)로 이르는 말.
✰姑(고)❶시어미(고)-고부(姑婦).
❷고모(고)--고모(姑母). 종ː고모(從姑母).
❸장모(고)--외고(外姑). ✰장모를 문어로 이르는 말.
✰‘姑(고)’字는 위와 같이 세 가지 뜻으로 쓰인다.
❉중ː수(仲嫂): 중형(仲兄)의 아내. ✰백형(伯兄)다음은 모두 仲兄이다.
❉종동서(從同壻): 아내 4촌 女兄弟의 남편.
❉동시(同媤): 형제(兄弟)의 아내끼리 서로 이르는 말.
✰달성서씨(達成徐氏)와 경남 고성(固城)의 여주이씨(麗州李氏)는 형제의 아내끼리는 동시(同媤)라고 한다. 경북 예천(醴泉) 지방에서도 대부분 형제의 아내끼리는 서로 동시(同媤)라고 지칭한다.
여형제(女兄弟)의 남편끼리는 동서(同壻)라고 하고, 남형제의 아내끼리는 동시(同媤)로 구별하면 어문생활(語文生活)이 분명해진다.『우리말큰사전』(한글학회)에는 남형제(男兄弟)의 아내끼리는 ‘동세’로 부른다고 했다.
경북 일부지방에서 남형제(男兄弟)의 아내끼리 ‘동시(同媤)’라고 하는 것은 ‘동서(同壻)‘의 사투리가 아니고 ‘동세’가 변한 말이다.
✰1988년 표준어 재사정(再査定) 때 많은 말을 인위적으로 구별하기도 하고, 통합(統合)하기도 했다. ✰1933년에 표준어를 1차 사정(査定)했다.
<미장이><돌장이>의 ‘장이’는 기능인(기술자)를 우대하여 높이는 말로, <욕쟁이><거짓말쟁이>의 ‘쟁이’는 천시(경시)하는 말로 구별하였다.
<마추다=주문하다>와 <맞추다: 깨어진 그릇을 맞추어보다>에서 <마추다>와 <맞추다>를 <맞추다>하나로 통합하였다.
✰동시(同媤)와 동서(同壻)로 구별하여 사용하자는 제안은 ‘동시(同媤)’는 ‘같은 집으로 시집왔다는 뜻’이고, ‘동서(同壻)’는 ‘서로 같은 사위란 뜻’이기 때문에 구별하는 것이 옳다는 말이다. 계명대학교 한문과 심호택(沈浩澤) 敎授는 ‘동시(同媤)는 재미있는 말이며, 널리 전파될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다.
❉외질(外ː姪): 자매(姉妹)의 자녀를 문어로 이르는 말.
❉외생(外甥): 외질(外姪)과 同義語.
✰자매(姉妹)의 자녀를 생질(甥姪)이라고 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쓰는 구어(口語)이다. 外姪과 外甥은 甥姪에 대한 文語이다.
❉표종(表從): 고종(姑從)을 문어로 이르는 말. ✰고종사촌(姑從四寸)을 文語로 外從하니, 外 즉 表이므로 外從이 곧 表從이다.
(2018. 9. 18.)
'시작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로마 신화 이름 대조표 (0) | 2019.03.28 |
---|---|
울음 종류 (0) | 2018.10.14 |
배우자가 감정적 외도를 피우고 있는지 알아보는 법 (0) | 2018.09.28 |
배우자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법 (0) | 2018.09.28 |
남편이 바람을 피는지 알아보는 법 (0) | 2018.09.28 |